존재중심코칭(EXISTENCE ORIENTED COACHING)
존재중심코칭이 무엇인가?
▶ 왜 존재방식을 다루어야 하는가?
▶ 어떻게 존재중심코칭을 하는가?
문제의 본질을 아는 것만으로 해결이 된다.
확장된 존재를 생산함으로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확장된 존재로도 해결할 수 없을 때 수용이 일어난다.
더 이상 문제가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다.
WHAT

존재중심코칭이란 무엇인가?
존재중심코칭은 개인의 고유한 존재방식을 다루어
진정한 내적 가치가능성을 깨우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의미있는 삶을 살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존재중심코칭에서의 '존재'
우리들이 흔히 사용하는 '존재'라는 단어는 존재방식을 얘기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A 스마트폰은 어떠어떠한 스마트폰이야'라고 이야기 할 때, 어떠하다는 것은 A 스마트폰의 작동방식, 기능, 특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당신은 어떤 존재입니까?'라는 질문에 '저는 친절한 사람입니다'라고 대답 한다면 이는 나의 작동방식, 기능, 특성이 친절한 방식으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즉, 친절한 존재가 아닌 친절한 방식, 상태(존재방식)로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존재'가 아닌 '존재방식(Way of being)'인 것입니다.

우리의 관심은 존재에 대한 정체성이 아니라 존재하는 방식에 관심이 있는 것입니다. 그 사람이 그사람이 되게 하는 것, 그 사람의 고유한 주관성, 그 사람의 특별함을 발견하고 발현시켜 최대한으로 발휘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존재중심코칭의 '인간관'
존재중심 접근은 고객의 원하는 미래를 창조하기 위해 존재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입니다. 존재의 탐색과 발견을 통해 고객의 삶과 세계에 들어가며 존재가치와 가능성을 통해 미래를 창조한다는 기본 전제에서 출발합니다. 다시 말해 존재중심 접근은 고객의 특별한 이슈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존재방식의 관찰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발현시킴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창조합니다. 이에 따라 존재중심 접근은 자신의 존재방식을 나타내는 의미, 가치, 신념 등을 발견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핵심을 이룹니다.

존재방식의 핵심 구성인 경험은 자신만의 지향성으로 다르게 해석을 하는 것이며 대상에 대한 인식은 객관적인 어떤 것을 아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구성되는 것으로 봅니다. 그러므로 대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을 바라보는 고객의 존재구조와 방식을 아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이런 관점을 가지고 존재중심 접근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전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고객은 실패를 선택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최선의 삶을 살아왔다.
우리 모두는 그 순간 최선의 길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고객은 ‘그러함으로 그러했기 때문에 그러한 삶을 살아온 것이다’ 실패란 잘못이 아니다. 실패란 그 자체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받아들일 때 자신을 수용할 수 있다. 자신을 수용할 때 자신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둘째, 고객의 고유한 존재방식이 대상을 규정한다. 대상은 저기 바깥에 있는 외부의 보편타당한 것이 아니다. 어떤 대상이 저기 바깥에 있다는 것은 개개인의 존재방식에 따라 내부적으로 산출한 것이다.(Maturana & Varela, 앎의나무) 고객의 문제는 문제를 바라보는 고객의 존재방식에 따라 규정된 것이다. 따라서 문제의 해결보다 문제의 규정을 밝히는 것이 먼저다.

셋째, 고객은 스스로 방향성을 갖고 움직인다. 사람은 자각이 일어나면 자연스러운 자발적 변화가 일어난다.(John Whitmore, 2007)

넷째, 존재는 행동을 만들고 행동은 존재를 만든다. 존재와 행동은 순환적 재귀관계를 형성한다. 어떤 행동의 이면에는 가치, 신념, 기준 등의 존재방식이 자리 잡고 있다. 존재방식에 따라 감정, 언어 등의 행위가 나타난다. 그러한 행위는 다시 자신의 존재방식을 강화시킨다.
WHY

왜 존재를 중심으로 코칭해야 하는가?
1. 문제 속에는 답이 없기 때문이다.
2. 코칭 목표가 '성과'에서 '안녕'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3. 진정한 삶의 변화는 존재방식을 다룰 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1. 문제 속에는 답이 없기 때문이다!


문제란 문제여서 문제가 아니라 문제라 규정되어서 문제다.

문제란 의식 속 작동(존재)방식에 의해 규정된 것이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려면 개인의 고유한 작동방식을 알아야 한다.
 
누구에나 똑같은 보편적 문제란 없으며 그에 따른 동일한 해결책은 없다!

2. 코칭 목표가 ‘성과’에서 ‘안녕(安寧)’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안녕(安寧) 의 문제
○ 관찰 가능한 외부적 목표설정이 어렵다
    (삶의 목표, 위기상황, 중요한 결정 등)
○ 원인 결과로 설명할 수 없는 복잡다단한 내면의 심리 정서적 문제가
    주를 이룬다
○ 결과보다는 과정 중심의, 문제 해결보다는 문제 해소에 무게중심이 있다
○ 삶 속의 제 3자나 관계에서 오는 갈등 등의 이슈가 자주 등장한다

행동변화만으로는 해결의 어려움
3. 진정한 삶의 변화는 존재방식을 다룰때
가능하기 때문이다!


HOW

존재중심코칭은 어떻게 하는가?
DISCOVERY_존재발견
EXPANSION_존재확장
PRODUCTION_존재생산
DISCOVERY

문제/이슈
1차작업(객관적)          문제의 본질
판단중지(에포케)/본질직관(자유변경)
경청, 이보크, 언어화

2차작업(주관적)          존재의 본질
시각화/획득의도/내러티브/전환기법
EXPANSION


비본래적 삶을 버리고 본래적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신의 존재 가치와 가능성을
확인하고 확장시켜야 한다.

은유기법/전환기법
PRUDUCTION


자기생성체계에서는 마치 에셔의
'그리는 손' 처럼 나의 활동이
나를 만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나(존재)와 나의 활동(행위)는
분리되지 않는다.

자기생산일기